팝업존
갤러리

공지사항 게시판
-
[홍보]광주광역시 자원봉사센터 20주년 시민의식 조사
내일이 빛나는 기회도시 광주 [광주광역시 자원봉사센터 20주년 시민의식 조사] 광주광역시자원봉사센터는 개소 20주년을 맞아, 자원봉사에 대한 시민 인식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광주 시민의 자원봉사 참여 확대 및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려 합니다. 자원봉사자 및 시민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참여방법- 설문기간 : 2025. 8월~ 9월까지 - QR로 참여하기 : https://naver.me/xE6o5sKC
2025.08.01
-
[홍보] 「청각·언어 장애인 맞춤형 수어 기반 권리 증진 사업」 민원응대 기초수어교육
광주광역시 서구청「청각·언어 장애인 맞춤형 수어 기반 권리 증진 사업」민원응대 기초 수어교육 광주농아인협회서구지회에서는 서구청의 지원을 받아 무료로 민원응대 관련 기초수어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수업 방식은 방문형 수어교육과 집합형 수어교육으로 진행됩니다.*방문형 수어교육은 민원응대 기초 수어교육을 원하시는 기관 또는 단체에 직접 방문하여 무료로 교육을 제공합니다.*집합형 수어교육은 민원응대 기초 수어교육을 원하시는 개인이 저희 기관에 방문하시면 무료로 교육을 제공합니다.참여를 원하시는 분들께서는 홍보지의 큐알 또는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교육방식
교육과정명
운영방식
일정 및 장소
방문형 수어교육
기관방문 수어교육3-10회 진행(회차조정가능)
시간 및 장소협의가능
집합형 수어교육
기초수어교육매주 2회 / 총 10회 진행
화, 목반(19:00-20:00)2025.08.12. ~ 09.11.
□ 신청 방법- 신청서 작성 :구글 폼 신청 https://m.site.naver.com/1MChQ □ 문의 :- 연락처 : 062)716-2636- 이메일 : gjdeafs2635@daum.net- 집합형 수어교육 장소 : 서구농아인쉼터(서구 경열로 103, 2층) □ 방문형 수어교육- 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교육 진행- 원하시는 시간대 및 장소 가능- 5명이상 모집 시 교육 가능- QR신청 및 전화신청 가능- 무료 교육 제공 □ 집합형 수어교육- 광주농아인쉼터에서 수어교육진행- 근무시간 이후 가능- 매주 2회 총 10회 진행- QR신청- 무료 교육 제공
2025.07.28
-
[채용](사)한국농아인협회 광주광역시협회 (긴급)2025년도 제2차 직원 공개채용 공고
(사)한국농아인협회 광주광역시협회 (긴급)2025년도 제2차 직원 공개채용 공고(사)한국농아인협회 광주광역시협회에서 역량 있는 직원을 다음과 같이 공개 모집하오니 많은 지원 바랍니다. 1. 채용 분야 및 직무내용 *임용 예정일 : 2025.8.4. 가. 광주광역시농아인협회 농아인쉼터 센터장(1급) : 1명/ 계약직 2025.8.4.~1년)※ 계약 만료 시 평가 후 정규직 전환 가능(회계,사무 및 기획, 중앙회 업무 지원, 수어 상담 및 통역)나. 광주광역시수어교육원 팀장(2급) : 1명/ 계약직 2025.8.4.~1년)※ 계약 만료 시 평가 후 정규직 전환 가능(교육원 사무 총괄, 수어 교육 및 연구 사업, 농문화 전파 및 인식개선 활동)다. 광주광역시농아인협회 사회복지사(4급) : 1명/ 계약직 2025.8.4.~1년)※ 계약 만료 시 평가 후 정규직 전환 가능(회계, 사무 및 기획, 중앙회 업무 지원, 수어 상담 및 통역)2. 근무조건가. 고용형태 : 계약직 3명(센터장1, 팀장1, 사회복지사1 : 2025.8.4.~1년)※ 계약 만료 시 평가 후 정규직 전환 가능나. 근무시간 : 주 40시간(1일 8시간, 주5일 평일 09:00~18:00)다. 보수기준 : 2025년 사회복지시설(이용시설)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 기준- 센터장(1) 1급 최대 15호봉까지 인정- 팀장(1) 2급 최대 18호봉까지 인정- 사회복지사(1) 4급 최대 6호봉까지 인정라. 근무장소- 센터장(1) : 북구농아인쉼터(광주광역시 북구 태봉로 62, 5층)- 팀장(1) : 광주광역시수어교육원(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273번길 68, 3층) - 사회복지사(1) : 광주광역시농아인협회(광주광역시 서구 경열로103, 4층) 3. 응시자격가. 서류심사와 관련한 각종 자격증 등 기준일은 원서접수 마감일 전일까지 취득한 경우에 한함나. 기타 사회복지사업법 제11조 2항 사회복지사의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공고 자격 기준에 한함다. 자격기준-센터장(농아인쉼터)○ 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 수어통역사(청각장애인통역사)자격증 소지자○ 위 자격증 취득한 후 사회복지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한국수어가 능통하며, 농문화∙농사회의 이해가 바른 자(※사회복지시설 경력자 우대)○ 기타 인사위원회에서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팀장(광주광역시수어교육원)○ 한국수어교원 자격증 소지자○ 수어통역사 자격증 소지자○ 위 자격증을 취득한 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고시한 한국수어 교육 경력 인정기관에서 10년이상 업무 경력이 있는 자.○ 기타 인사위원회에서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사회복지사(광주협회) :○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필수)○ 수어통역사 자격증 소지자○ 기타 인사위원회에서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 4. 채용전형 일정(1차-서류심사, 2차-면접심사)-1차 서류심사-가. 채용공고 : 2025. 7. 23.(수)~ 7. 30.(수)나. 응시원서접수 : 2025. 7. 28.(월)~ 7. 30.(수) 17:00까지(gjdeaf2635@hanmail.net 이메일 접수만 가능)다. 서류전형 합격 및 면접대상자 발표 : 2025. 7. 30.(수)-2차 면접심사-가. 면접심사 : 2025. 7. 31.(목)나. 최종합격자발표 : 2025. 7. 31.(목)다. 임용등록 : 2025. 8. 1.(월)라. 임용예정일 : 2025. 8. 4.(월) 5. 제출서류가. 이력서 1부 (서식 제1호)나. 자기소개서 1부 (서식 제2호)다. 자격증 사본 각 1부라.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동의서 1부 (서식 제3호)※ 서류심사 합격자, 최종합격자에 한하여 협회 홈페이지 추가 서류 안내 6. 기타 유의 사항가. 응시자는 자격요건 등이 적합한지를 철저히 검토한 후 응시하시기를 바랍니다.나. 부정한 목적으로 제출 서류를 위조․ 변조하거나 허위 사실이 있을 때는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다. 제출된 서류상의 기재 착오 및 누락, 연락 불능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이익은 일체 응시자의 책임입니다.라. 시험 결과 적격자가 없을 경우 선발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최종합격자의 채용 포기, 결격사유(신원/범죄 경력) 조회 및 채용 신체검사 등 공무원법 제33조 결격사유 발견) 등이 있을 경우 합격을 취소하며, 이 경우 차순위자를 채용할 수 있습니다.마. 「채용 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 제11조 제1항에 근거하여 이메일로 접수된 채용 서류는 반환되지 않으며, 채용 여부가 확정된 이후 5일 이내 지체없이 파기합니다.바. 지원서 접수 결과 응모자가 선발 예정 인원과 같거나 선발 예정 인원을 보다 적을 경우 재공고할 수 있습니다.사. 본 채용계획은 사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사항은 (사)한국농아인협회광주광역시협회 홈페이지(www.gjdeaf.or.kr)로도 별도 공고합니다.*기타 채용 문의는 gjdeaf2635@hanmail.net(062-716-2636)입니다.
2025.07.25

알려드립니다
시정소식, 언론보도 게시판
-
시정소식
-
[보도자료]광주시, 8월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 당부
광주시, 8월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 당부 - 물놀이사고 8월에 집중 발생…하천·계곡서 사고 잦아- 구명조끼 착용‧지정구역 이용 등 안전수칙 철저 준수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본격적인 여름휴가철을 맞아 하천, 계곡, 해수욕장 등에서의 물놀이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무더운 날씨가 지속되는 8월은 계곡·하천·해수욕장 등에서 물놀이와 수상레저 활동이 활발한 시기로, 사고 위험이 매우 높다.최근 5년(2020년~2024년)간 전국 물놀이사고 통계(출처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총 112명의 사망자 중 54명(48%)이 8월에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도 초순과 중순에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사고 장소는 하천이 33%로 가장 많았고, 계곡 30%, 해수욕장 22%, 갯벌 및 해변 13% 순으로 나타났다.광주시는 물놀이 전 충분한 준비운동과 구명조끼 착용, 안전구역 내 활동, 어린이 보호자 동행을 기본 원칙으로 안내하고 있다. 아울러 사고 발생 때는 즉시 119에 신고하고, 구조가 필요할 경우 무리하게 물속에 들어가지 말고 구명환 등 안전장비를 활용해 구조해야 한다.광주시는 또 시민들에게 ▲구명조끼 착용 ▲지정된 구역과 안전시설이 갖춰진 장소 이용 ▲음주 후 물놀이 금지 ▲기상 변화 대비 등 기본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이부호 안전정책관은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물놀이 현장점검을 지속 강화할 계획”이라며 “모든 시민이 스스로 생명을 지킬 수 있도록 안전수칙을 숙지하고 실천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광주시는 앞으로도 여름철 물놀이 안전대책을 지속 추진하며, 관련 부서‧유관기관과 협력해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 별첨 : 사진(안전정책관, 613-4920)
2025.08.01
-
[시험인사정보]광주광역시장애인체육회 직원 채용 공고
광주광역시 장애인체육회 직원채용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서류 참조
2025.07.29
-
[보도자료]광주시-5개 중앙부처, 호우피해 통합 지원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3일 오전 시청 1층 행복회의실에 설치된 '호우 피해자통합지원센터'를 방문해 근무자들을 격려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제공 - 시청 1층 통합지원센터 개소…구호‧의료‧보험금 등 원스톱 상담- 강기정 시장 “호우 피해자 한곳서 도움…하루빨리 일상 되찾길” 광주시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교육부, 국세청, 금융기관 등 중앙부처와 함께 호우 피해자 통합지원에 나섰다.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시청 1층 행복회의실에 ‘호우 피해자 통합지원센터’를 마련하고, 23일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호우 피해자 통합지원센터’는 광주·전남지역에 발생한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시민들이 불편 없이 각종 민원과 상담을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 지원창구다.통합지원센터에는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교육부, 국세청, 금융기관 등 관련 중앙부처와 관계기관 공무원들이 상주해 민원에 대한 통합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피해시민은 지원센터에서 ▲이재민 구호 ▲의료 및 심리 지원 ▲자원봉사 연계 ▲통신·전력·가스 공급 장애 해결 ▲폐기물 처리 ▲복구 자금 융자 및 대출 유예 상담 ▲보험금 청구 절차 등 피해회복에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센터는 피해 수습 종료 때까지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며, 광주시 누리집(홈페이지) 또는 120 콜센터를 통해 담당자를 확인한 후 방문 또는 전화 상담이 가능하다.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날 센터를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상담 및 민원을 담당하는 근무자들을 격려했다.강 시장은 “호우 피해자 통합지원센터 덕분에 피해를 입은 시민들이 한곳에서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됐다”며 “시민들이 하루빨리 평범한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재해복구, 생활안정 지원 등 세심한 배려와 도움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 별첨 : 사진(자연재난과, 613-4960)
2025.07.23

-
언론보도
인사채용 게시판

지식공유 게시판
-
2025년 장애인복지 사업안내(지역사회복지, 기타 복지 사업 등)
2025년 장애인복지 사업안내 Ⅱ- 지역사회복지, 기타복지 사업 등 - 세부 내용은 하단의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4.17
-
2025년도 광주광역시 장애인복지과 본예산
2025년도 광주광역시 장애인복지과 본예산 세입세입세출예산서입니다.- 예산액 : 408,902,681천원(국비 222,558,884천원, 시비 186,343,797천원)- 세부내용은 첨부파일 다운받으시면 됩니다.(자료출처 광주광역시청 홈페이지)
2025.01.07
-
새해부터 달라지는 제도와 시책(2025년)
2025년 이렇게 달라집니다. - 복지·돌봄·아동·보육·일자리 등 분야별 정책 주요 변경사항 안내 - 광주시가 새해 복지·돌봄, 아동·보육, 청소년, 교통, 경제·일자리 등 6개 분야 53개의 제도와 시책이 새롭게 시행되거나 달라진다고 밝혔습니다. 분야별로 주요 내용은 하단의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01.02
-
새해부터 달라지는 제도와 시책(2024년)
2024년 이렇게 달라집니다. - 재정·복지·여성·보육 등 분야별 정책 주요 변경사항 안내 - 광주시가 새해 재정·세정, 복지, 여성·보육, 청년, 교통, 경제 등 7개 분야에 걸쳐 모두 54개의 제도와 시책이 새롭게 시행되거나 달라진다고 밝혔습니다. 분야별로 주요 내용은 하단의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4.01.02

일반자료실
